본문 바로가기
음식

맛있는 족발 내가 좋아하는 족발

by moneypower-j 2024. 12. 16.

운동이 끝나고 단백질을 보충하기 위해 닭 가슴살을 먹기도 하지만 가끔씩 야들야들한 고기가 먹고 싶을 때

야들야들한 족발이 생각이 날 것이다.

이 야들야들하고 부드럽고 맛있는 족발에 대해서 알아보자.

 

목차

  1. 족발이란
  2. 족발의 식감
  3. 족발의 효능
  4. 기타

 

1. 족발이란

족발은 돼지의 발을 여러 가지 첨가물과 향신료로 삶아서 조려 썰어서 나오는 요리이다.

신체 부위의 발과 발의 한자인 족을 합하여 나온 이름이다.

풀어서 이야기하면 발발이지만 말하는 것이 편하고 알아듣기 쉬워서 표준어로 굳어졌다.

돼지발을 양념에 재워 구워 먹곤 하였고 국물을 보양식으로 먹기도 했는데

산모가 고아 먹으면 젖이 잘 나온다는 민간요법도 있다.

족발의 기원은 황해도에서 돼지발을 삶아 조려낸 갱엿돼지족조림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가 아는 장충동은 60, 70년대 프로레슬링이나 권투경기가 자주 열리는

장충체육관에서 관람객이 족발을 많이 먹기 시작했고 이를 통해 널리 알려지기 시작했다.

 

2. 족발의 식감

족발은 충분히 삶아 나오는 음식으로 쫄깃하고 야들야들하여 느끼하지 않아 안주로 많이 사용된다.

겉면은 역시 껍질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부드러우면서도 쫄깃한데

이는 삶는 과정에서 젤라틴 성분이 녹아 나오면서 형성된다.

살코기는 느끼하지 않고 적당히 부드러우며 씹을수록 고소한 맛이 느껴진다.

힘줄 부위는 탄감을 주며 콜라겐이 풍부해서 쫄깃하여 씹는 맛이 있다.

껍질과 근육 사이에 있는 지방은 고소하고 끈적한 식감을 더해준다.

 

3. 족발의 효능

족발은 삶은 과정에서 젤라틴 성분이 녹아 나오는데

젤라틴 : 특별한 맛은 없지만 쫀뜩한 질감으로 족발의 식감을 정하는 성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세포의 골격을 지지해 주며 튼튼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도움을 줌으로써 각종 관절염 예방에 효율적이다.

관절 주변에서 염증반응을 줄여 관절 수명을 늘려주며,

장기적으로 골다공증, 관절염과 같은 만성 질병 예방에 도움을 준다.

 

젤라틴에 함유되어 있는 글리신 :  위산 분비를 촉진시켜 소화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와준다.

신진대사를 높이고 포만감을 오래 느끼도록 해주어 다이어트 식품으로 안성맞춤이다.

글리신은 수면의 질 향상에도 도움을 준다. 이는 수면을 유도하는 효소 및 신경전달물질 생성을 촉진시키는 것이다.

 

콜라겐 : 피부의 탄력과 보습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고 주름과 처짐을 줄여준다는 말이다.

근육량 감소를 예방하고 운동 후 회복을 돕고, 운동 직후 먹게 되면 근육량 증가효과도 볼 수 있다.

콜라겐은 모발 손톱의 성장을 촉진하고 강도를 강화하여 더 단단한 머리카락이 머리에서 날 수 있다.

또한, 혈관을 유연하고 튼튼하게 유지하는데 기여하고 동맥경화를 예방하고 심혈관 질환 위험을 낮출 수 있다.

 

3. 족발의 부작용

족발은 영양분이 양호한 음식이지만 과다 섭취 시 문제가 될 수 있다.

껍질과 지방층에는 칼로리와 지방이 함유량이 많아 고지혈증의 위험이 있고

다양한 첨가물이 들어가는데 대부분 나트륨이 많은 첨가물이 들어가고 고혈압, 부종등을 유발할 수 있다.

퓨린도 함유되어 있어 체내에서 요산으로 변환되고 요산수치가 높으면 통풍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고지방 음식은 과다 섭취 시 간 기능을 약화시키고 지방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4. 기타

족발을 먹다 보면 형광빛이나 녹색의 얼룩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는 위생과는 아무 상관이 없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근섬유의 단면에 빛이 굴절되어 색깔이 그렇게 비치는 것이다. 이때 근육에 남아 있는 헤모글로빈의 양에 따라 녹색으로 보일 때도 있으며 족발뿐만 아니라 다른 고기에도 이러한 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안심하고 먹도록 하자.

족발에 들어 있는 큰 뼈는 돼지의 하완인 부분이고 뼈는 사람으로 치면 손가락 위쪽 부위의 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