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들이 좋아하는 음식 best3안에 꼭 들어갔던 김치찌개, 잘 익은 김치와 새벽에 몰래 훔쳐먹으면 무엇보다도 맛있는 돼지고기 이런 김치찌개하면 떠오르는 것은 우리 집, 우리 부모님 등 정겨운 이미지가 겹쳐 보인다.
자취를 해서, 연인이 없어서, 부모님을 못 뵈는 시간이 늘어나서 쓸쓸하다면
김이 모락모락 나는 김치찌개를 만들어먹어 보자. 계란프라이는 덤이다.
목차
- 김치, 찌개
- 김치찌개의 유래
- 김치찌개 레시피
- 김치찌개 영양
- 김치, 찌개
- 기타
1. 김치찌개의 유래
우리가 아는 빨간 김치의 역사는 그렇게 오래되지 않았다. 빨간 고추는 임진왜란 이후에 등장하였고 1900년대 우장춘 박사님의 대대적인 품종 개량으로 농업 생산성이 늘어나서 배추에 빨간 고추 양념을 발라 먹었다. 그것이 우리가 아는 빨간 배추김치이다. 당연하게도 이후 김치찌개가 나왔을 것이니 아무리 봐도 100년 채 되지 않는 역사를 가졌다.
2. 김치찌개 레시피(my one pick 개량 없음)
우리는 김치에 너무 진심이어서 레시피가 너무 많아 어떻게 만들어 먹어야 내 입맛에 맞을지 모른다.
항상 우리가 먹는 김치찌개는 기성품처럼 식탁 앞에 놓아졌기 때문이다.
나는 김치찌개에 참치는 별로이면서 돼지고기는 필수라고 생각한다.
김치의 익음정도도 중요한데 너무 생김치와 너무 익은 김치는 김치찌개의 풍미를 만들어 내지 못한다.
구할 수 있다면 딱 익기 시작한 김치를 반의 반포기 배추김치 1/4을 구하자. 레시피는 1인기준이다.
냄비에 물을 적당히 넣고 돼지고기 목살이든 삼겹살이든 뒷고기든 뭐든 넣어서 끓인다. 돼지고기는 다다익선이라 많을수록 국물이 우러나온다. 돼지고기가 익을 때쯤 우리가 구해온 김치를 넣고 저어준다.
이때 두부, 대파, 고춧가루, 액젓, 국간장을 넣어보면서 간을 본다.
간이 적절해지면 먹기만 하면 된다. 여기에 계란프라이 반숙을 따뜻한 찹쌀흰밥과 먹으면 간장게장은 뺨 두 번 후려갈기고 경찰서에 잡혀가는 밥도둑이 될 것이다.
3. 김치찌개 영양
레시피에서도 봤듯이 엄청난 열량과 나트륨이 함유되어 있고 김치찌개를 끓이면서 유산균이 다 죽어버려 건강에 좋다고는 말을 못 하겠지만 마음의 영양은 누구보다도 채워졌으리라 생각한다.
하루하루 이런 소소한 행복과 영양을 채워가면서 누구보다 멋지게 살아가자.
4. 찌개, 김치
찌개는 건더기가 많아 건더기를 끓여 먹고 육수가 적은 것이 특징이며 전골과 국, 탕과는 괘를 달리한다.
따라서 김치찌개에 국물이 한강으로 있고 돼지고기가 소량으로 들어가면 그것은 그냥 김치 국이다. 김칫국...
김치는 우리나라 전통 발효식품으로 소금물에 절여 발효시켜 보관성을 높인 채소를 양념으로 맛을 내어 먹는 음식이다.
김치는 무가 원형이며 고려시대에도 물김치, 나박김치, 동치미의 초기 형태가 나타났다.
김치의 가장 중요한 고춧가루는 고추는 포르투갈 상인들을 통해 동아시아로 전해졌고 임진왜란 끝나고 보급이 됐으나 독초라 여겨 먹지는 않았고 10여 년 이후 식용으로 활용되었다.
그리고 경신대기근이 닥쳤을 때 산천초목이 죄다 말라 소금을 만들기 위한 땔감의 가격이 너무 높아 사지를 못했다.
나무는 장적과 부수적인 작업에도 사용되어야 했고 이에 따라 소금값도 폭등할 수밖에 없었다.
사람들은 살기 위해 대비책을 찾아야 했고 그게 바로 고춧가루였다. 소금값도 소금값이지만 기근으로 소금 이외에도 다른 재료를 배합하기 시작했는데 그것이 젓갈류이다.
현대와 비슷한 배추김치 조리법은 현대에서 나타났다. 하지만 상류층만 먹을 수 있는 고급 식재료였으므로 당시에도 유행하지는 않았다.
현대에서는 배추의 개량으로 다량 보급으로 배추의 값이 평준화되었으며 한국 발효식품 문화의 대표로 자리 잡게 되었다.
5. 기타
한식증 흥원에서 김치찌개레시피로 살아 있는 미꾸라지를 기입한 적이 있다.
한식을 전 세계에 알리는 정부 산하기관에서 무슨 맛으로 미꾸라지를 넣으라고 한 것인지는 모르겠으나
작성자가 그날 추어탕을 너무 맛있게 먹은 게 아닌가 싶다.
'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 제철 음식 과메기에 대해 알아보자 (3) | 2024.12.17 |
---|---|
맛있는 족발 내가 좋아하는 족발 (1) | 2024.12.16 |
맛있는 뱅쇼 내가 좋아하는 뱅쇼 (2) | 2024.12.14 |
겨울 제철 음식 귤에 대해 알아보자 (4) | 2024.12.13 |
겨울 제철 음식 팥죽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4.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