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식

겨울 제철 음식 팥죽에 대해 알아보자

by moneypower-j 2024. 12. 13.

팥죽은 동짓날 몸을 따뜻하게 하고 귀신과 액운을 쫓아내기 위해 먹는다. 설탕을 넣어먹으면 달콤해져 어렸을 때 설탕을 엄청 넣어 먹었던 기억이 있다. 이렇게 겨울만 되면 생각나는 팥죽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목차

  1. 팥죽이란
  2. 팥죽의 식감
  3. 팥죽의 효능
  4. 팥죽의 부작용
  5. 기타

 

1. 팥죽이란

팥을 물에 넣어 끓여서 익으면 앙금을 내려 껍질을 제거하여 죽처럼 만들어 먹는다. 팥죽에는 사람 기호에 맞게 새알을 만들어 먹는다. 새알을 찹쌀로 메추리알만큼의 크기로 만들어 먹는 방법, 쌀알처럼 작게 갈아 한술 크게 먹는 방법 등 다양하게 먹을 수 있지만 대부분 쌀로 이루어져 있는 새알을 넣어 먹는다.

팥죽은 24절기중 하나인 동지에 먹고, 전통적으로 붉은색을 띠고 있어 귀신들이 두려워한다는 말이 있었고 팥죽을 먹는 풍습은 다양한 귀신이 가져오는 병이나 불운을 막는 기능이 있다고 믿었다.

동지는 일 년 중 밤이 가장 긴 날로 점차 낮이 길어져 농사일을 시작한다는 의미였고, 동짓날 밤 동안 음식을 나누고 먹고 쉬면서 봄에 경작을 준비하고자 했다.

팥죽은 주식은 쌀과 반대되어 기근 음식으로도 불리었다. 겨울에 쌀이 부족해지면 최소한의 쌀로 만들어 영양분을 보충하기에 충분한 음식이었고 경제적으로 곡식을 아낄 수 있는 음식이었다. 우리가 부족한 상황에서 일어날 수 있도록 힘을 낼 수 있도록 민간신앙 등을 만들어 보릿고개 같은 악조건을 넘어가고자 했다.

 

2. 팥죽의 식감

팥은 다른 부드럽고 찹쌀은 쫀득하다. 설탕을 뿌리지 않는 팥죽은 쓴 맛과 고소함이 공존하여 어린아이가 싫어하는 음식 중의 하나일 것이다. 하지만 설탕을 뿌리는 순간 팥죽은 단팥죽으로 탈바꿈되어 쓴 맛이 사라지고 단맛과 고소함만이 공존하게 된다. 하지만 설탕을 과다 투입이 될 경우 단맛이 늘어나지만 쉽게 질려버리는 현상이 생기고 설탕을 넣은 순간을 후회하게 될 것이다.

찹쌀로 만든 새알은 쫀득하여 이에 붙어다니는 효과가  있어 계속 씹게 되는 중독성이 강한 음식 중에 하나이다. 처음 먹으면 단팥 맛 나는 죽에 아무 맛도 안 나는 새알이 무슨 소용인가 싶지만 이 쫀득한 새알을 계속 먹을수록 새알의 중독성으로 팥죽이라는 것을 잊어버리고 새일이 주인공이 되는 놀라운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3. 팥죽의 효능

팥은 비타민B, 칼륨, 사포닌과 같은 성분이 들어 있고, 인슐린 분비를 촉진시켜 당뇨에도 도움이 됩니다.

비타민 B :  기억력, 식욕, 신경쇠약, 수면장애, 다양한 대사 활동에 도움이 됩니다.

칼륨 : 혈압 유지, 나트륨 배설, 혈압 낮춤(호르몬 레닌의 활성화 억제), 뇌졸중 발생위험 감소

사포닌 : 항산화, 항암, 면력력 향상, 콜레스테롤 저하, 노화 방지, 피부미용, 피로 해소

* 나쁜 귀신 떨어짐, 불운 막음 등등 먹으면 부적 효과가 있음

 

4. 팥죽의 부작용

알리고당으로 일부 사람들에게 소화불량(가스, 복부팽만감, 설사)등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평소에 소화가 안되거나 과민성 대장 증후군을 앓고 있는 사람이라면 팥죽을 먹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퓨린성분으로 통풍이 있거나 요산 수치가 높은 사람들은 주의가 필요하다.

퓨린은 혈액으로 들어가고 우리 몸이 대사를 진행하고 남은 찌꺼기가 요산이라고 한다.

퓨린을 먹으면 대사 효과를 진행에 도움을 주고 요산수치를 늘리게 됩니다. 요산은 연골, 힘줄 등 조직에 침착되어 염증과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물을 충분히 마셔 소변으로 요산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꾸준한 운동이 필요하다.

 

5. 기타

팥죽 송이라는 것을 들어 봤을 것이다. 팥죽송은 어렸을 때 괴담과 같은 노래로 팥죽만 계속 반복하여 공포심을 반복하고 거꾸로 다 들으면 죽는다는 괴담이 있을 정도로 무서운 노래였다. 어렸을 때 용감한 친구가 이 노래를 틀었고 끝까지 들어보려 했으나 그 방에 있는 친구들은 노래를 듣고 2초 만에 그 방에 모두 나와 들을 수가 없었고 어른이 돼서야 들었는데 아직도 싸한 느낌은 가지 않는다.

팥 하면 역시 귀신을 물리치는 느낌이 강하다. 영화에서 보나 실제 무당들도 사용하는 팥은 옛날 어느 부인에게 바보 아들이 하나 있었고 동짓날에 죽어 귀신이 되었는데 생전에 팥을 무서워하여 동짓날 팥죽을 만들어 이 귀신을 쫓아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되었다. (아들이 귀신이 되면 성불시키려고 좋아했던 음식을 만들어 바치지 않나 싶지만...)